일상 대화 속에서 흔히 쓰이는 표현 중 하나가 바로 동문서답(東問西答)입니다. 질문과 답이 전혀 맞지 않을 때, 상대방이 본질과는 다른 엉뚱한 대답을 했을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동문서답의 정확한 뜻, 한자 풀이, 활용 예시, 그리고 관련된 표현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동문서답의 한자 풀이
-
東(동녘 동) : 동쪽
-
問(물을 문) : 묻다
-
西(서녘 서) : 서쪽
-
答(대답 답) : 대답하다
즉, 동쪽을 물었는데 서쪽을 대답한다라는 직역이 됩니다.
동문서답 뜻
질문한 의도와 전혀 상관없는 대답을 하는 것을 뜻합니다.
-
상황에 맞지 않는 대답
-
상대방의 질문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거나, 일부러 회피할 때
-
문맥과 동떨어진 답변
동문서답 활용 예시
-
일상 대화에서
A: “오늘 저녁 뭐 먹을래?”
B: “어제는 비가 왔어.”
→ 전형적인 동문서답 -
회의에서
회의 중 핵심 질문을 했는데, 엉뚱하게 전혀 다른 분야를 설명하는 경우에도 사용됩니다. -
정치/언론에서
기자: “정책 실패에 대한 책임은 어떻게 지시겠습니까?”
정치인: “국민 여러분의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 질문을 피한 동문서답
동문서답과 비슷한 표현
-
언행불일치(言行不一致) : 말과 행동이 서로 맞지 않음
-
적반하장(賊反荷杖) : 잘못한 사람이 오히려 큰소리침
-
딴청 피우다 : 의도적으로 엉뚱한 행동이나 말을 함
자주 묻는 질문(FAQ)
Q1. 동문서답은 꼭 부정적으로만 쓰이나요?
A1. 주로 부정적 상황에서 쓰지만, 가볍게 농담할 때도 “야, 동문서답하지 마”라는 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Q2. 동문서답과 비슷한 한국 속담이 있나요?
A2. “엉뚱한 소리한다”라는 속담이 가장 유사합니다.
Q3. 동문서답이 쓰이는 대표적인 상황은 무엇인가요?
A3. 대화가 어긋날 때, 질문 회피, 또는 의도적으로 화제를 돌릴 때 많이 사용됩니다.
Q4. 동문서답의 반대되는 개념이 있나요?
A4. “문답일치(問答一致)”라고 해서 질문과 답이 정확히 일치하는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동문서답은 질문과 전혀 다른 대답을 뜻하는 사자성어로, 일상 대화부터 정치, 사회적 상황까지 폭넓게 쓰입니다. 대화의 본질을 흐리거나 화제를 피하려는 의도가 있을 때 자주 볼 수 있죠. 일상 속에서 상대방이 내 질문과는 다른 답을 할 때, “이건 동문서답이네”라고 표현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