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는 먼 곳이 흐릿하게 보이고 가까운 물체는 선명하게 보이는 시력 이상 상태를 말합니다. 의학적으로는 눈의 굴절 이상(굴절이상, refractive error) 중 하나로, 안구의 초점이 망막 앞쪽에 맺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즉, 빛이 눈 안으로 들어와 망막 위에 정확히 초점을 맺지 못하고 그보다 앞쪽에서 굴절되기 때문에 멀리 있는 사물은 흐릿하게 보이는 것입니다.
근시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시력 이상으로, 특히 스마트폰·컴퓨터 사용 증가로 인해 젊은 층에서 급증하고 있습니다.
근시의 원인
근시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합니다.
1️⃣ 안구의 길이가 길어진 경우(축성 근시)
2️⃣ 각막 또는 수정체의 굴절력 이상(굴절성 근시)
3️⃣ 환경적 요인
4️⃣ 유전적 요인
근시의 증상
| 증상 | 설명 |
|---|
| 먼 곳이 흐릿하게 보임 | 가장 대표적인 증상 |
| 눈을 자주 찡그림 | 초점을 맞추려는 무의식적 반응 |
| 두통 및 눈 피로 | 장시간 근거리 작업 시 두통, 안구 건조 동반 |
| 시력 저하 | 시야 흐림, 집중력 저하 |
| 야간 시력 저하 | 어두운 곳에서 시야 흐림이 심해짐 |
💡 Tip:
학생이나 사무직 종사자가 갑자기 칠판 글씨나 멀리 있는 화면이 흐릿하게 보인다면 근시 가능성이 높습니다.
근시의 종류
| 구분 | 설명 |
|---|
| 단순 근시 | -6.00디옵터 이하의 일반적인 근시 |
| 고도 근시 | -6.00디옵터 이상, 망막 질환 위험 높음 |
| 가성 근시 | 일시적 조절 이상으로 생기는 일시적 근시 (휴식으로 호전 가능) |
| 축성 근시 | 안구 길이 증가로 발생하는 근시 (영구적) |
근시 교정 방법
① 안경 또는 콘택트렌즈
② 드림렌즈 (Orthokeratology)
③ 라식(LASIK) / 라섹(LASEK) 수술
④ 인공수정체 삽입술(ICL)
-
고도근시 환자에게 적합한 수술법
-
각막 손상 없이 렌즈를 삽입하여 시력 교정
근시 예방법
1️⃣ 야외 활동 늘리기
2️⃣ 근거리 작업 시 20-20-20 법칙 적용
3️⃣ 독서나 스마트폰 사용 시 거리 유지
4️⃣ 충분한 조명 아래에서 작업하기
5️⃣ 정기적인 시력검사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근시는 완치가 가능한가요?
아니요. 근시는 구조적 변화이므로 완치는 어렵지만, 교정 및 진행 억제는 충분히 가능합니다.
Q2. 근시가 계속 심해지는 이유는 뭔가요?
근거리 작업 과다, 야외 활동 부족, 성장기 안구 발달 등으로 근시가 점차 진행될 수 있습니다.
Q3. 안경을 오래 쓰면 눈이 더 나빠지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정확한 도수의 안경 착용이 눈의 피로를 줄여 근시 진행을 늦춥니다.
Q4. 드림렌즈는 안전한가요?
전문 안과에서 정확한 처방을 받는다면 안전합니다. 단, 위생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Q5. 근시와 난시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근시는 초점이 앞에 맺히는 것이고, 난시는 각막의 굴절 불균형으로 빛이 여러 방향으로 퍼지는 현상입니다.
마무리
근시는 단순한 시력 저하가 아닌, 생활습관과 밀접한 현대인의 대표적인 눈 질환입니다. 장시간 스마트폰과 모니터를 사용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정기적인 시력검사와 올바른 눈 관리 습관이 필수입니다. 특히 성장기 아동이나 청소년은 조기 교정을 통해 근시 악화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올바른 생활 습관과 꾸준한 관리로, 건강한 시력을 오래 유지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