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마음속에는 쉽게 잊히지 않는 감정이 있다. 누군가의 진심 어린 도움, 예상치 못한 배려, 또는 인생을 바꾼 한마디가 우리 마음속 깊이 남을 때, 그 감정은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는다.
이처럼 받은 은혜를 평생 잊지 않고 기억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사자성어가 바로 ‘각골난망(刻骨難忘)’ 이다.
이 표현은 단순히 고마움을 넘어서, ‘뼈에 새길 만큼 깊은 감사’를 뜻한다. 오늘은 이 단어의 정확한 뜻과 유래, 그리고 일상 속에서의 올바른 활용법을 알아보자.
각골난망 뜻
각골난망(刻骨難忘) 은 네 글자로 구성된 한자어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 한자 | 뜻 |
|---|---|
| 刻(새길 각) | 새기다, 깊이 새기다 |
| 骨(뼈 골) | 뼈 |
| 難(어려울 난) | 어렵다 |
| 忘(잊을 망) | 잊다 |
👉 직역: “뼈에 새겨 잊기 어렵다”
👉 의역: “은혜를 깊이 마음에 새겨 평생 잊지 않는다”
즉, 각골난망은 누군가에게 큰 은혜를 받아 그 고마움을 영원히 잊지 않겠다는 뜻을 지닌 사자성어다.
각골난망의 유래
‘각골난망’은 중국 고전 문헌에서 유래한 말로, 한나라 때 충신이었던 유향(劉向) 의 문집에 처음 등장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는 자신을 구해준 은인의 도움을 “뼈에 새겨 잊을 수 없다(刻骨難忘)”고 표현하며 평생 그 은혜를 보답하려 했다.
이후 이 표현은 중국과 한국 모두에서 깊은 감사의 상징적인 표현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각골난망의 쓰임 예시
① 일상 대화 예문
-
“선생님의 가르침은 각골난망입니다.”
-
“그때 도와주신 은혜, 저는 각골난망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② 문학적 표현 예시
-
“그의 한마디는 내 인생의 전환점이 되었고, 그 은혜는 각골난망이었다.”
💡 포인트: ‘각골난망’은 윗사람이나 스승, 은인을 향한 진심 어린 감사 표현으로 가장 자연스럽게 쓰인다.
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
| 사자성어 | 뜻 |
|---|---|
| 결초보은(結草報恩) | 은혜를 죽어서도 갚음 |
| 감격천심(感激天心) | 깊이 감격하여 마음에 새김 |
| 망은지은(忘恩之恩) | 은혜를 잊지 않음 |
| 심심상기(深心常記) | 마음 깊이 오래도록 기억함 |
이 중 ‘결초보은’은 행동으로 보답하는 의미라면, ‘각골난망’은 마음속 깊은 감사의 감정에 집중한 표현이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각골난망은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나요?
주로 스승, 부모, 은인 등에게 받은 큰 도움이나 가르침에 감사할 때 사용합니다.
Q2. 편지나 이메일에 써도 되나요?
네. 격식 있는 감사문, 인터뷰, 답례 글 등에도 자주 사용됩니다.
Q3. ‘각골난망하다’라고 써도 맞나요?
맞습니다. “그분의 은혜는 각골난망합니다.”처럼 동사형으로 써도 자연스럽습니다.
Q4. 현대 사회에서도 자주 쓰이나요?
네. 특히 졸업식, 감사 편지, 표창장, 인터뷰 발언 등에서 여전히 자주 사용됩니다.
마무리
‘각골난망’은 단순한 고마움 이상의 감정을 담고 있다. 누군가의 선의와 배려가 내 삶의 한 부분을 바꿔놓았을 때, 그 마음을 잊지 않으려는 다짐이 바로 ‘각골난망’의 본질이다.
감사의 마음을 진심으로 표현하고 싶을 때, 이 단어 한마디면 마음의 깊이를 가장 아름답게 전달할 수 있다.
SEO 태그
각골난망뜻,각골난망유래,감사사자성어,은혜를잊지않음,고마움표현,사자성어뜻,고사성어